03
바로 나 자신이었다.가장 멀리 있는 희미한 존재가가장 가까운 존재이면서 12
희미한 나13
14
15
16
Part. 2
21
...22
“그렇게하면 안돼요.” “이렇게만 하세요.”23
성공의 척도성공의 척도24
성공의 척도성공의 척도성공의 척도성공의 척도성공의 척도LOSER남들 보다 더 완벽해야 해. 더 노력해야 해. 더 멋있어야 해. 더 아름다워야 해.25
* 탈 지방 : 문화, 인프라, 인력 따위가 지방을 벗어나 중앙으로 나아감.그렇게 지방에 있는 청년들은 서울에 대한 환상은 커져만 가고, 인서울을 못하더라도 서울 근처 경기권이라도 가기 위해 대학 원서를 서울에 근접한 수도권 지역으로 넣게 된다. 또한 서울에서 대학을 졸업하고 일하는 것이 사회적으로 성공한 삶의 상징으로 여겨지는 경향이 있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현실이다. 대학은 ‘인서울’을 해야 인정을 받는 사회적 분위기가 자리 잡은지는 이미 오래다. 지방에 사는 청년들은 서울에 있는 대학을 가기 위해 서울로 상경하고 홀로 생활하며 3수, 4수도 마다하지 않는다. 27
수도권 집중화 현상, 지방 소멸은 앞으로도 계속해서 가속화될 것이다.그렇게 획일화로 인해 지방은 점점 소멸 되어간다.내가 원하는 일을 하기 위해, 더 나은 삶을 위해, 더 나은 미래를 상상하며지방을 떠나 수도권으로 향한다.하지만 일자리를 찾아 수도권으로 상경한 청년들은 결국 주거비 부담, 삶의 질 저하, 외로움 등 다양한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리고 그 결과는 우리를 더욱더 몰아세우고 불을 지피는 상황을 초래한다. 28
32
왜곡으로흐려트리다33
34
42
47
48
49
50
53
54
55
56
61
63
64
65
66
111315사진 출처참고 문헌[홍순원 칼럼] 수저계급론 https://m.blog.naver.com/thdhong/223353132931대한민국은 계급사회https://m.blog.naver.com/manse5885/223399493273<피로사회> 2012_ 저자 한병철 <소유냐 존재냐> 2020_ 저자_ 에리히 프롬Unsplash https://unsplash.com/koPAGE NUMBER232369
232426273139414346495359626365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