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turn to flip book view

양지영-최종

Page 1

Page 2

Page 3

Page 4

Page 5

Page 6

Page 7

Page 8

Page 9

Page 10

Page 11

Page 12

Page 13

Page 14

Page 15

Page 16

Page 17

Page 18

Page 19

Page 20

24. 10. 1. 오후 2:29Buchenwald | Concentration Camp, Definition, Meaning, Map, & Facts | Britannicahttps://www.britannica.com/place/Buchenwald1/1

Page 21

Page 22

Page 23

Page 24

Page 25

Page 26

Page 27

Page 28

Page 29

Page 30

Page 31

Page 32

Page 33

Page 34

Page 35

Page 36

Page 37

Page 38

Page 39

Page 40

Page 41

Page 42

Page 43

Page 44

Page 45

Page 46

Page 47

Page 48

Page 49

Page 50

Page 51

Page 52

Page 53

Page 54

Page 55

Page 56

Page 57

Page 58

효율 복잡하지 않지만 마음이 복작거린다비효율에 있다효율적 결과보다 중요한 건

Page 59

Page 60

Page 61

024

Page 62

025여름삼각형 여름, 뜨거운

Page 63

Page 64

Page 65

Page 66

Page 67

Page 68

기대감, 이상을 바라볼 수 있는여기서의 ‘어떤’에 해당하는 항목 즉, 기대의 대상을 정리해봤다. 기대의 대상에는 사회/자신이 있다.사회부터 살펴보면, 사회는 다양한 기준으로 만들어진 기대의 대상을 가진다. 다양한 기준에는 나이, 지역, 직업, 학벌, 정치, 성별 등이 있다. 각각의 대상에 기대하는 것들에 따라서 항목의 요소가 결정된다. 사회가 가지는 기대와 개인이 가지는 기대의 항목과 기대의 정도가 다르다. 간단하게 말하면, 사회가 개인에게 갖는기대가 개인의 다양성을 담지 못하고 있다.사회가 개인의 기대감을 실현하기에는 사회가 갖는 기대의 폭이 한정적이다. 기대의 한정은 고정관념과 연결된다. [기대]의 정의와 [기대]를 재정의[기대]:어떤 일이 원하는 대로 이루어지기를 바라면서 기다림.기대사회의 기대나이 젊음/늙음경제적 안정 상대적 안정교육과 성장 인성과 실력공정성과 정의 공평함과 평등사회적 인정과 존중 다양성의 존재공동체의식 협력과 교류사회적 안전 인간관계사회적 건강물리적 안전 범죄와 안전성별 남자/ 여자인종 및 민종 한국인/외국인경제적 저소득층 /중산층/부유층교육 기록되는 교육/ 기록되지 않는 교육/직업/돈장애 장애인/비장애인외모 잘생김/못생김성적 지향성 이성주의자개인의 기대감기대, 그 이상을 바라는 시선시선여름삼각형 여름, 차가운

Page 69

가장 흔한 예로 성별에 대한 제한된 기대가 있다. '성별'이라는 항목에서는 남자와 여자를 기대하게 된다. 다시 말해, 남자와 여자라는 이분법적 성별만을 예상하는 것이다. 하지만 시대가 변하면서 남자와 여자 외에도 다양한 성 정체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다. 이러한 변화는 공중화장실에서 남녀 칸의 변화로 확인할 수 있다.성별에 대한 인식이 다양해짐에 따라 남성과 여성뿐만 아니라 그 외의 성 정체성도 포용할 수 있는 화장실에 대한 요구가 커지기 시작했다. 관련 사례로는 한 학원장이 트랜스 여성(남성에서 여성으로 성전환한 사람)의 여자화장실 이용을 막아, 국가인권위원회의 시정 권고를 받은 사건이 있다. 학원장은 이에 대해 행정소송을 제기했으나, 재판부는 “트랜스 여성의 여자화장실 이용 제한은 성전환자로서의 정체성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이는 성별 정체성을 이유로 한 차별에 해당한다”고 판결했다.이처럼 기존 성별의 경계를 넘어 다양한 성 정체성을 포용하는 '성 중립 화장실'이 생겨났다. 이러한 변화는 기존의 성에 대한 고정된 기대만으로는 불가능했을 것이다. 만약 성에 대한 한정된 기대만을 가지고 있었다면, 이러한 사례는 나오지 못했을 것이다.이 사례를 통해 '기대'에 대해 말할 수 있는 것은, 한정된 기대는 한정된 결과만을 만들어낸다는 점이다. 따라서 어떤 기대를 할지 결정하는 것은 곧 어떤 미래를 만들지 결정하는 것과 같다. 제한된 기대는 제한된 결과를 가져온다. 기대를 재단하기 전에, 더 넓은 시야와 고정되지 않은 기대가 필요하다. 폭넓은 시야와 자유로운 기대는 기대감을 만들어낸다.기대는 어떻게 재단이 될까 생각해봤다. 일단 기대를 주고 받는 대상을 사회와 개인으로 정했을 때 누구나 보편적으로 받게되는 기대의 한정, 즉 누구나 받는 스테레오 타입의 시선은 '연령'이라 생각한다.특히나 한국 사회는 나이에 민감한 사회다. 나이는 예의와 연결되기도 한다. 한국만의 예의범절 문화에도 나이에 따른 예의 범절이 있을만큼 나이를 중요시한다. 그 밖에도 나이 많은 남,녀를 지칭하는 언니, 오빠라는 단어, 선배님, 윗어른과 같은 단어를 보아도 나이는 한국 문화에 깊이 자리잡았다. 그래서인지 모르겠지만 사회에서는 나이에 따라서 개인의 특징을 구분짓는다. 구분이 완전히 틀린 건 아니지만, 나이라는 이유로 개인의 삶에 한계를 그을 수 있다.생애 주기가 나이와 스테레오타입 그리고 개인의 삶의 한계에 대한 예시가 된다.가장 대표적인 사회가 가진 나이에대한 스테레오타입은 정년퇴직이라 생각한다. 처음 나이와 정년퇴직에 대한 생각을 했을 때 보다는 이제는 익숙한 얘기다. 정년퇴직은 일정 나이까지 근무할 수 있는 나이를 규정지어 둔 것이다. 정년퇴직은 한국의 평균 사망 연령이 70대였을 때 만들어졌다. 하지만 평균 기대수명 120살을 바라보고 있는 2024년 한국과는 이미 거리감이 생긴 제도다.이 정년퇴직 제도에 담긴 스테레오타입은 나이 먹음과 능력의 한계, 나이 먹음과 사망, 나이 먹음과 쉼 등 특정 연령대에 대한 고정관념이 담겨있다.나이에 대한 경계가 흐려지며 활발한 활동과 취미 생활에 적극적으로 임하는 액티브 시니어, 경제 활동을 지속하는 그레이 노믹스 등 노년과 관련된 활력이 담긴 용어들이 많이 등장했지만 아직은 기존 노년층에 대한 기대에 한계가 있다. 아래의 질문에 대한 답들이 노년층에 대한 고정관념을 알려준다.한국의 노년층은 다양한 직종에 고용되지만, 주로 다음과 같은 분야에서 많이 일을 하고있습니다:아파트 경비원/보안요원/건물 청소/환경 미화원/마트 편의점 직원/카페 및 음식점/자영업/농업/사회복지사회의스테레오타입한 기대는 개인의기대감을 막는다[기대]:기대는 가능성을 의미한다.편집되지 않은 기대는 가능성이 된다.chat gpt가 답했다030

Page 70

Page 71

Page 72

Page 73

Page 74

Page 75

Page 76

Page 77

Page 78

Page 79

Page 80

사담7

Page 81

035

Page 82

Page 83

Page 84

Page 85

Page 86

Page 87

Page 88

Page 89

Page 90

Page 91

Page 92

Page 93

Page 94

Page 95

Page 96

Page 97

Page 98

Page 99

2024